노인맞춤돌봄서비스 소개

사업목적
- 1. 노인맞춤돌봄서비스 :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및 노인의 기능, 건강 유지를 통한 기능악화를 예방
- 2.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: 사회적 고립과 우울 위험이 높은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사례관리 제공을 통해 고독사 및 자살을 예방

사업내용
구분 | 서비스 | |
---|---|---|
노인맞춤 돌봄서비스 |
안전지원서비스 | 이용자의 가장 전반적인 안전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방문, 전화 또는 ICT기기를 통해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(안전·안부확인, 생활안전점검, 정보제공, 말벗) |
사회참여서비스 | 이용자가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·확장하여 사회적 교류와 활동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(사회관계향상 프로그램, 자조모임) |
|
생활교육서비스 | 사회적, 신체적, 정신적 기능을 유지하거나 악화를 지연·예방하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(신체건강분야, 정신건강분야) |
|
일상생활지원서비스 | 이용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외출동행, 가사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(이동활동지원, 가사지원) |
|
연계서비스 | 이용자의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내 민간자원 등의 후원물품이나 서비스를 연계 지원하는 서비스 (생활지원연계, 주거개선연계, 건강지원연계, 기타 서비스 등) |
|
특화서비스 | 고립, 우울, 자살생각 등이 높은 노인을 대상으로 개별 맞춤형 사례관리 및 집단활동 제공 |

일반 및 중점 대상자 선정기준
- 1. 65세 이상, 국민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로서 유사중복사업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 자
- 2. 사회관계 단절, 신체적 기능 저하, 정신적 어려움(인지저하, 우울감 등)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노인

은둔·우울형 대상자 선정기준
- 가족, 이웃 등과의 접촉이 거의 없어 고독사 및 자살위험이 높은 만 65세 이상 노인
- 1) 은둔형 집단 : 가족, 이웃 등과 관계가 단절된 노인으로서 민·관의 복지지원 및 사회안전망과 연결되지 않은 노인
- 2) 우울형 집단 : 정신건강 문제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의 어려움을 겪거나 가족·이웃 등과의 관계 축소 등으로 자살, 고독사 위험이 높은 노인

서비스 제공 절차
1) 노인맞춤돌봄서비스
서비스 신청 접수
(읍면동)
>
대상자 선정조사 및
서비스 상담
(수행기관)
>
서비스 제공계획 수립
및 승인요청
(수행기관)
>
심의 및 결정
(시·군·구)
>
서비스 제공
(수행기관)
>
서비스 재사정
(수행기관)
>
서비스 종결 및 사후관리
(수행기관)
2) 특화서비스
서비스 신청 및 의뢰
(읍면동, 수행기관 등)
>
초기상담 및 척도 검사
(수행기관)
>
서비스 이용자 선정
(수행기관)
>
서비스 제공계획 수립
(수행기관)
>
서비스 결정 안내
(수행기관)
>
서비스 제공
(수행기관)
>
서비스 재사정
(수행기관)
>
서비스 종결 및 사후관리
(수행기관)